== 만들기/Hand made

갤러리장, 야채장 - 우리집 간식장

위드그린 2009. 10. 7. 00:59







                         오래된 식기세척기.
                         이사오면서 빌트인하기가 적당치 않아
                         주방 한켠에 두었는데
                         그 위에 광파오븐렌지를 올려 사용하다
                         씽크대 위 조리대가 너무 협소하고
                         우연히 씽크상판만 파는곳을 알게 되어
                         사이즈를 측정하여 주문하여 보조조리대로 사용하기로 했다.







                        보통 빌트인하는 식기세척기는 윗판이 600 * 600 이다.
                        위에 상판을 올리려면 지지대가 필요할듯하여 가로로 100 을 더 길게 700 * 600 으로 했다.
                        정확한 사이즈로 잘라 제작되어온 깔끔한 상판.
                        색상도 마음에 들고 튼튼하여 올려 보니 지지대가 없어도 묵직하니 움직임이 없다.
                        딱 알맞게 주문할걸 하는 낭패감이...;;







                        그래서 궁리 끝에 삐죽나온 10센티 밑으로 얕은 컵보드장을 만들기로 하고
                        인터넷 목재상에서 14센티 폭의 판재를 재단 주문하여
                        틀을 만들고 뒷판은 얇은 합판으로 마감하고
                        갤러리 문짝을 저렴한 다른곳에서 주문하여
                        만들어 붙여 고정했더니 딱 맞는다.
                        본드로 붙여 피스로 고정하는것이 좋다는데 
                        목공용 본드가 없어 바로 피스로 고정하려니 삐뚤빼뚤 안 맞는것을
                        남편이 전부 피스를 풀어내고 다시 고정했더니
                        아주 반듯해졌다.
                       


                        



                        생각 같아선 접이식 아일랜드 식탁 형식으로 조리대 상판을 더 크게
                        하고 싶었지만 너무 복잡해서 포기하고
                        그냥 이동식 트롤리를 사서 식기세척기 옆에 붙여놓고 사용하기로 했다.
                        유사시에는 다른곳으로 치울수도 있기 때문.

                        좁은 씽크대 조리대 위를 늘 차지 하고 있던
                        둥굴레 보리차를 끓이는 커다란 주전자와
                        하루 종일 빈번히 사용하게 되는 후라이팬,
                        역시 자주 사용하는 볼과 바구니등을 두고
                        자주 사용하지만 주변을 지저분하게 일조하는
                        냄비받침들은 서랍에 넣어두니
                        씽크대 위가 깨끗하게 정리 되었다.










                        주방안이 좀 좁아졌지만 조리는 보통 나 혼자만 하고
                        조리대가 좁아 여기저기 불안하게 올려두고
                        발에 치일까 걱정되게 바닥에 내려 놓곤 했는데
                        넉넉해진 공간 덕에 조리할때 걱정없이 한눈에 보며 할수있어
                        더 효율적이 되었다.








                        세척기 옆 공간에 맞춰 만들어 놓은 갤러리장.
                        삼나무로 만든 갤러리문이 정말 예쁘고 냄새도 좋다.                        
                        
                       






                        처음 생각엔 우리집은 유난히 컵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고
                        게다가 예쁜 머그컵도 모으고 싶어 컵보드로 용도를 생각해서
                        높이를 17센티정도로 선반과 칸막이를 여러개 올릴 예정이었지만
                        만들면서 생각이 바뀌어 그냥 간식장으로 사용하기로 변경.
                        
                        폭140mm에 두께 19T 판재 845짜리 2개가 양옆판이 되고
                        600짜리 2개가 위, 아래판, 560짜리 2개가 중간 선반이 되었다.
                        미송옹이합판 4.8T 600*845로 뒷판을 했고
                        중간선반은 나사다보를 박아 올려놓았다.
                        경첩은 무보링경첩을 사용하려했으나 너무 빡빡해서
                        그냥 경첩을 달고 문짝이 긴편이고 깊이가 얕은편이라
                        여닫을때 자칫 고정이 되지 않을까싶어 
                        위 아래로 자석쌍빠찌링을 달았는데
                        자석이 너무 강해서 테이프를 3겹 덧 붙여주었더니
                        부드러우면서 한번에 잘 닫혔다.

                        
                        나중에 보니 깊이가 얕아 세워둔 내용물이 쓰러지기 십상이라
                        문구점에서 목봉을 사서 막아줬다.






                        
                        
                        간식을 사오면 늘 봉지째로 식탁 근처에 그냥 두고
                        먹을땐 찾아야 했고 뭐가 있는지 잘 모르기 일쑤였는데
                        이젠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좋다.
                        
                        며칠전 희원이가 잔뜩 사다놓은 간식들을 수원이랑 야금야금 먹더니만
                        급기야 텅비어 버려 어젯밤엔 많이 아쉬어 했다.
                        그래서 오늘 샛별이랑 함께 나가 녀석들이 좋아할만한 것들을 사다 채워보았다.                      
                       







                                            그리고 또 하나의 간식장.
                                            위의 것은 애들 간식장, 요건 남편 간식장.
                                            식전 식후 과일을 꼭 먹는 남편을 위해서
                                            냉장고에 채 들이지 못한 사과, 배등 과일을 넣기 위해
                                            야채장이라는것을 구입하여 뒷베란다에 뒀다.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지 않지만 
                                            상자를 늘어 놓는것 보다는 공간을 덜 차지하고
                                            보기도 좋다.
                                            삼나무라 달리 색을 칠할 필요는 없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