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th green/화초

화초와 비료

위드그린 2008. 12. 20. 19:51




***  비료의 형태별 종류  ****

1. 일반 복합비료 : 보통 알갱이 형태. 사용량을 정확히 지킬것.

                         많이 주면 화초가 죽는다. 오히려 적게 주는것이 낫다.

2. 관주용비료 : 일반적으로 가루형태.   전문가 사용가능.

                      비료의 효과가 빨리 나타나므로 농도를 잘 맞추어야 한다.

                  

3. 완효성비료 : 보통 알갱이형태 (복합비료와 구분하기 어려운 제품도 있다.)

                    가정에서 사용하시기 가장 적당. 화분위에 올려놓으면 물줄때 비료성분이 녹아서 화분으로 흡수된다.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비료가 녹아서 흡수되는 양을 조절한 제품이므로

                    어느정도 많이 주더라도 해가 잘나타나지 않는다.

 

4. 액체비료 :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농도 맞추기가 어렵다.





****  화초에 필요한 비료의 요소  ****

-   질소(전체적인 성장)
-   인(꽃과 개화와 열매)
-   칼리(잎과 줄기 조직을 튼튼하게 하는)

외에 미량이지만
튼튼한 세포막을 위한 칼슘
엽록소를 구성하는 마그네슘
그밖에도 철,구리,망간,붕소,아연등을
필요로 한다.
사람으로 치면 주요 영양소인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외에도
곡 필요한 비타민 정도에 비교할 수 있다.


****  겨울철 비료주기  ****

-  대개 비료는 식물의 주요성장기인 5-9월(식물,온도에 따라4-10월)에 준다.


-  겨울철에는 주로 따뜻한 실내에서 기르는 열대나 아열대의
   관엽식물(잎을 즐기는)을 제외 하고는 비료를 주지 않는 것이 좋다.
   (5-9월 성장기 보다는 적게 준다.)

-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기후가 자생지인 식물
   지중해성 기후(허브 종류),
   내년에 꽃을 보기위해 겨울을 서늘한 곳에서 보내야 하는 화초(부겐벨리아, 군자란 등),
   다육식물(산세베리아 등), 선인장, 란 등은
   겨울에는 비료를 주지 않는 것이 좋다.

* 또한 열대성 관엽식물이라도 장소 때문에 부득이
  7 - 15도 정도의 서늘한 곳(베란다 등)에 두는 화초는
  비료를 주지 않는다.




****   성분에 따른 비료의 시비방법  ****

속효성 비료 - 화학성분의 비료
지효성 비료 - 유기질 또는 무기질 비료


1. 질소질 비료 : 주로 유안 요소비료라고 부른다. 엽록소의 구성 요소로 단백질 합성이나
                      세포
의 분열증식  식물체의 발육을 돕고 잎의 신장을 촉진 시킨다.

    시비방법 - 생육 초기부터 중기까지 충분히 준다.  꽃이피는 시기에는 적게 줘야 한다.
                   꽃을 못피게 하는 수 가 있다. 
                   이때 흙에는 유기질 비료를 같이 주는 게 좋
다. 
                   유기질 비료는 계분. 돈분. 우분. 퇴비. 등이 있다.


    과다시비 - 질소비료는 무제한 흡수 하기 때문에 연약하게 되어 꽃색을 엷게 하거나  
                   열매의 
맛을 떨어 뜨린다.  잎의 색은 진한 녹색으로 된다.

    부족시    - 생육이 저하되고 아랫잎이 누렇게 말라 죽는다.

    성분       - 중성 이기때문에 흙이 산성화가 않된다.     

           
 

2. 인산질 비료 주로 중과린산석회. 과린산석회 라고 부른다.
                       개화와 결실을 잘되게 하고 식물체를 튼튼하게 자라게 하고
                       엽록소의생성과 분열
을 증가 시킨다. 내한성과 내병성을증가 시킨다.
                       흡수량에 한계가 있어 과잉장해는 없다.  즉 필요 할때만 사용 한다.

   시비방법 -  생육 후기에 많이 줍니다. 밑거름으로 심기전에 준다. 
                   이는 뿌리에서 인산질 
거름을 스스로 조절하여 흡수 하기때문이다.
                   유기질비료는 쌀겨. 골분. 계란껍질등이 있다.

  과다시비 -  흡수량이 적어 과다시비의 해는 거의 없다.
                   그러나  생장하지 않고 위축
되어 완전한 결실을 하지 못 한다.

  부족시    -  잎색갈이 엷은 암록색이 되며 꽃과 잎이 광택이 없다.
 
                줄기는 가늘어지고 작아져 병에 걸리기가 쉽다,
                  꽃이 작아지고 꽃색도 나쁘며 식물 전체에 세력이 없다.
                  즉 나약한 느낍이든
다. 
                  우리 허브가 왜 잘 않자라요 꽃이 잘 않펴요 하는 질문은
                  거의 인산
질 비료가 부족 하기 때문이다.     

   성분      -  산성 이기때문에 조절을 잘 해야 흙이 산성이 않된다.    

 

3. 칼리비료 주로 염화칼리. 황산칼리 라고 부른다.
                   뿌리나 줄기에 관계하고 비료나 양분을 운반해 주는 역할을 한다.
                   염록소의 생성과 분열을 증가 시킨다. 
                   뿌리를 튼튼하게 하여 강한 나무를 만든다.

   시비방법 -  웃거름이나 밑거름으로 사용 한다.
                    질소비료와 같이 생육초기와 중기 또 개화기에 걸쳐 
시비 한다.
                    유기질 비료는 재 종류이다.
 (종이태운재. 짚태운재. 쓰레기태운재)

   과다시비 -  식물의 줄기가 강한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만져 보면 무르고 연약 하다.
                   잎색갈이 진한 녹색으로 변한다.

   부족시  -    줄기가 연약 하고 힘이 없다. 잎색갈이 연두색으로 변 한다.
                   뿌리가 약해져 잘 흔들린다.  꽃색이 연약하고 힘이 없어 보인다.

   성분     -    산성이기때문에 과다시비는 흙을 산성으로 변 하게 만든다.

 

 

****   비료 사용시 주의할점  ****


화학비료는 흙을 산성화 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관수 시비 보다는 옆면 시비를 해주는것이 좋다.


흙에  줄때는 비료만 사용 하지 말고 유기질 비료를 같이 사용 하도록 한다.
일반 시중에 판매되는 비료는 한번 시비하면 일주일 정도의 효과가 지속 된다.
그러므로 한달에 4회이상 주어야 효과를 지속적으로 볼 수가 있다.


구입할땐 뒷면에 적혀 있는 성분표를 참조 하여3가지를 구입하여 그때끄때 때에맞추어 시비를 하도록한다.
 그것이 올바른 사용법이다.
 (예: 질소.6.5 인산 19. 카리4.5 )이렇게 기록 되어 있다.
       - 이것을 보시고 각각 성분이 높게 표시  된것 3가지를 구입 하면 된다 
         
그것을 각 시기에 맞춰 시비하시면 된다. 

질소성분이 높은것: 생육 초기와 중기까지 
                           더 쉽게 설명 하면 허브는 봄과 여름사이에 꽃이 많이 펴
                           가을과 겨울동안 질소와 칼리성분이 많은비료를 주고 봄엔 인산 성분이 많은걸
                           주라는 뜻.

인산성분이 높은것: 생육 중기부터 후반.(꽃이나 열매가 맺히는 시기)
 

칼리성분이 많은것: 생육초기와 중기까지(질소 성분과 같이 주면 된다)

 

유기질 비료 사용방법


*  퇴비종류는 1자분(30센티)크기를 기준 할때 3리터 정도 흙양의 30%정도 썪으면 된다.

* 계분이나 깻묵을 사용 할땐 반드시 발효가 된것을 사용 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을땐 식물에 해를 끼친다.   역시 1자분 기준 할때 2리터 정도 사용.
   흙양의 20%정도이다.

 * 밑거름으로 사용 할땐 흙과 혼합하여 사용 하고 
   웃거름으로 줄땐 화분 위에 올려  놓는다.
   이땐 양을 반으로 줄인다. 


유기질 비료 사용시 주의점


  * 계분이나 쌀겨 깻묵 사용시엔 반드시 발효를 시킨 후에 사용 해야 한다.

  * 재를 사용할땐 흙과 반반 혼합 하여 사용 한다.

 




출처: 네이버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