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감도를 나타내는 국제 표준규격,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흔히 필름의 감도를 이야기할 때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란 표현을 씁니다.
그러니까ISO는 감도를 나타내는 국제 표준규격입니다.
여기서 감도란 필름의 빛에 대한 민감도. 즉, 빛에 의해 변화되는 속도를 말하는 것이며.
필름이 없는 디카에서는 환산치로 쓰이게 됩니다.
필름을 감도로 분류하면
ISO 25 ~ 50을 저감도, ISO 100 ~ 200을 중감도, ISO 200 ~ 400을 고감도,
그 이상 (ISO 800 ~ 3200)은 초고감도로 구분 가능합니다.
필름의 감도가 높으면 광량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며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전지의 사용도 줄일 수 있게 되지요.
그렇다면 무조건 필름의 감도가 높을수록 좋은 건 아닙니다.
감도가 높아지면 입자가 거칠어지고 화질이 떨어지게 됩니다.
흔히 말하는 노이즈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플래시를 사용하기 곤란한 (해가 지는 시간, 또는 좁은 실내) 경우에만 ISO 감도를 높여 촬영하고
평상시에는 ISO 100에 고정하여 사용하시고
일반적인 야경 촬영에서는 감도를 높이는 것 보다는 노출 시간을 늘이는 것이 더 좋을 것 입니다.
쉽게 말해 디카마다 조금씩 틀리지만 밝은혹은 맑은 날은 ISO100~200정도에 맞추시고
흐린날이나 저녁즈음엔 400 그 이상은 400이상으로 맞추시면 될겁니다.
대신 숫자가 올라가면 사진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사진을 원하시면 셔터속도를 조절(천천히)하시던가 스트로보를 사용하시는것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 네이버 지식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