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情報2012. 6. 21. 20:14

 

 

 

산나물과 독초 구분하기

우리가 흔하게 산에서 뜯어서 먹는 나물 중에서도 구분을 잘 못하면 독초를 먹어 식중독에 걸릴수도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초여름에 등산객이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섭취하여 식중독이 발생하는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독초와 분별이 어려운 산나물의 채취·섭취에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5월 28일 독초인 초오로 술을 담궈 나눠 먹은 사람들이 구토, 의식불명 증세로 병원치료를 받았으며, 5월 22일에는 등산객들이 독초인 자리공 잎을 산나물로 오인하고 먹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어 식약청에서는 야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산나물과 독초의 구별법, 독초 섭취시 응급처치 요령, 산나물의 올바른 섭취방법 등 정보를 제공 헀다.

산나물과 혼동하기 쉬운 독초의 종류 및 구별법으로 독초인 여로는 잎에 털이 많고 잎맥이 나란히 뻗어 잎맥 사이에 깊은 주름이 있어, 잎에 털과 주름이 없는 봄나물 원추리와 구별할 수 있고, 독초인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어긋나 있으며 잎맥이 많고 주름이 뚜렷하여, 마늘 냄새가 나고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리는 산나물인 산마늘과 구별할 수 있다.

독초인 동의나물은 잎이 두껍고 표면에 광택이 있어, 부드러운 털로 덮혀있는 곰취잎과는 구별되며, 독초를 섭취 후 응급 처치 요령으로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섭취하면 설사나 복통, 구토, 어지러움, 경련,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생기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손가락을 목에 넣어 먹은 내용물을 토하게 한 후 가까운 병원 등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때, 토한 후에는 뜨거운 물을 마시게 하며, 병원으로 이동할 때에는 먹고 남은 독초가 있다면 가져가는 것이 좋다.

산나물의 올바른 섭취방법으로 원추리, 두릅, 다래순, 고사리 등은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식물 고유의 미량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 독성분을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하고, 특히 원추리에는 성장할수록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물질이 많아져 독성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어린순만 채취하여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하며, 콜히친은 나물을 끓는 물에 데치는 것만으로도 쉽게 제거된다.

2003년~2009년까지 발생한 자연독 식중독 환자 총 231명(18건) 중 절반에 가까운 104명의 환자가 원추리가 그 원인식품이었다. 식약청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은 독초와 산나물의 구별이 쉽지 않으므로 산에서 직접 채취하여 섭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고 설명했다.

-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청 -

 

 

 

독초 종류

금낭화, 갯메꽃, 개감수, 개당귀, 큰꽃으아리, 너삼, 독말풀, 두루미천남성,

대극, 미나리아재비, 만병초, 반하, 부처손, 복수초, 박새풀, 석산, 석류목,

속새, 승마, 산초나무, 숫잔대, 상사화, 은방울꽃, 여로, 애기똥풀, 위령선,

우단답배풀, 옻나무, 여뀌, 진범, 자리공, 지리강활, 주목, 접시꽃, 제충국,

초호, 초롱꽃, 천남성, 참죽나무, 피마자, 파리풀, 택사, 흰꽃이질풀, 현호색...

 

 

 

네이버 검색에서 발췌함.

'== 情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효효소  (0) 2012.06.27
독초- 애기똥풀  (0) 2012.06.21
산야초 효소의 효능과 만드는법  (0) 2012.06.21
산야초 - 냉이  (0) 2012.06.21
산야초 - 민들레  (0) 2012.06.21
Posted by 위드그린